• 최종편집 2024-05-05(일)

김풍배 칼럼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06.29 15:53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김풍배.jpg

 

‘없으면 작아진다, 적어진다, 비굴해진다, 멍청이가 된다, 불편하다, 쓸쓸하다, 주눅 든다, 미안하다, 불려 다닐 걱정 없다, 조그만 것에 감사하고 하찮은 것에 고마워한다. 자손들 싸움 붙일 일 없다. 없으면 꿈만 꾸고, 있으면 꿈을 만들고. 있다가도 도망가 울고, 없다가도 찾아와 웃고. 어머니도 아버지도 현찰이면 OK, 아들도 딸도 있어야 효도하고, 친척 친구도 많으면 붙고 없으면 멀어지지. 돈, 돈, 돈, TV를 틀어도 돈, 돈, 신문을 봐도 돈, 돈. 교회도 돈, 돈, 절에도 돈, 돈. 불행의 종자, 밤에 피는 꽃, 돌고 돌아 아예 돌아버리게 하는 돈. 저승사자가 감쪽같이 숨어서 희쭉 웃고 있는 돈. 우라질 놈의 돈! 환장할 놈의 돈! 간 쓸개 다 내주고 모셔오는 돈. 개처럼 졸졸 맘대로 끌고 다녔으면 좋겠다’

 

위의 글은 필자가 강산도 두 번 바뀌기 전에 낙서했던 글입니다. 세월이 그렇게 흘렀는데도 아무것도 바뀐 것이 없습니다. 여전히 그놈의 요물 때문에 별별 희한한 일들이 다 생깁니다. 국민의 선량이란 사람이 막중한 국사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코인거래를 하다가 문제를 일으킨 사람도 있는가 하면 징용피해자를 돕는다는 단체가 피해보상금의 2할을 원 단위까지 청구했다는 보도를 보면서 돈에 관한 거라면 아무것도 변한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눈을 돌려보면 눈물 나게 감동적인 기부 이야기가 넘쳐납니다. 일평생 모은 돈을 아낌없이 기부한 사례들은 차라리 진부합니다. 어쩌다 선행이 드러나도 그들은 쑥스러워합니다. 매년 나타나는 얼굴 없는 천사나 기업가나 유명 체육선수 또는 연예인들의 베푸는 선행이 얼마나 많은가요? 그런데도 그들의 선행은 은밀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애초부터 자랑하기 위함이 아니요 진정한 이타심의 발로이기 때문입니다.

 

엊그제 지인이 보내준 수필집에서 ‘만 원짜리 지폐’를 설명한 글을 읽었습니다. 평소 무심히 보던 지폐였는데 설명을 듣고 보니 하나하나 깊은 의미가 담겨 있었습니다. 먼저 세종대왕의 초상화(御眞)가 있고 좌측에 소나무와 폭포와 산봉우리가 5개 있습니다. 이를 ‘오봉일월도’라 하며 이는 용상 뒤에 장식하며 용비어천가 2장의 구절이 적혀있습니다.

 

용비어천가는 세종대왕 때 정인지 등이 왕명으로 지은 해동 육용이 하늘로 올라갔다는 뜻으로 조선 창업을 중국 고사에 빗대어 찬송한 것이며 훈민정음으로 쓴 최초의 작품입니다. 뒷면을 보면 왼쪽에 천문관측기인 ‘혼천의’가 보입니다. 세종 때 장영실이 처음 제작하였으나 분실되고 현종 때에 송이영이 제작한 혼천시계라고 합니다. 하루 한 번씩 회전하며 계절과 시간의 변화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중앙에는 ‘천상열차분야지도’가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우리 서산 출신의 자랑스러운 유방택(자는 금헌琴軒, 시호는 정숙靖肅)은 조선 개국 직후인 1395년(태조 4) 권근과 함께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제작하였습니다. 1395년에 최초의 하늘지도가 만들어진 셈입니다. 이를 완성한 공적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錄勳)되고 서산군(瑞山君)으로 봉해졌습니다. 서산시 인지면 애정리에 류방택 천상과학관에 가면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화폐의 뒷면 오른쪽에는 경북 영천의 보현산에 있는 ‘반사식 광학천체망원경’입니다. 지름이 1.8m로 수억 광년이나 되는 우주의 신비를 망원경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 장의 화폐에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과 과학 군주의 면모가 들어있는 깊은 뜻이 있습니다. (박종국의 ‘만원 지폐에 담겨 있는 비밀’에서)

 

애초부터 돈은 귀하게 쓰라는 뜻에서 만들어진 듯합니다. 학교폭력으로 아들을 잃은 참빛그룹 이대봉 회장은 용서의 힘으로 서울아트센터를 세워 35년째 3만여 명의 어려운 인재들을 도와 온 그는 열심히 장사해 번 돈으로 어려운 분을 도와드릴 때가 가장 보람 있고 행복하다고 말합니다. 영국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은 “돈은 좋은 머슴이기는 하지만, 나쁜 주인이기도 하다”라고 했습니다. 한세상 태어나서 어찌 돈의 노예가 되어 부끄러운 이름을 남기겠습니까? 만 원짜리 한 장을 들여다보며 지폐 속에 담긴 교훈을 되새겨봅니다./목사 시인, 소설가, 수필가

태그

전체댓글 0

  • 4447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