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2.11.15 01:29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벼 수매시기에 농민들이 한 숨 짓다니

 

벼 수매시기에 농민들이 한 숨 소리가 들려오고 있다. 32년 만에 닥친 벼 흉작으로 농민들 걱정이 크다. 이는 비단 벼농가의 소득 감소에 관한 문제로 그치는 게 아니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 벼 작황 부진의 여파가 연관 업계와 정책으로 계속 확산되며 연쇄 파동을 일으키고 있어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벼농사 흉년의 가장 큰 원인은 이상기후에 있다. 가뭄과 폭염, 수확기를 앞두고 몰아치는 태풍 등의 기상악재가 결정적이다. 통계청과 한국농업경영인연합회에 의하면 올해 전국 쌀 예상 생산량이 지난해에 훨씬 못 미친다. 늘어도 시원치 않을 형국에 오히려 평년에 비해 3.8% 감소했다. 서산지역 상황도 예외는 아니다. 일부 농민들에 의하면 지난해에 비해 20~30% 소출이 줄었다고 한다. 이런 결과가 빚어진 데 대해 농민들은 정부의 정책이 부실하고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책이 미흡해 손실을 키우고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쌀 생산이 부진하자 정부가 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되레 농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당장 내년부터 논에 타 작물 재배허가를 대폭 축소하거나 폐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농민들은 이해할 수 없는 농정이라며 난감해하고 있다. 지난해에도 쌀 생산량이 크게 떨어졌는데 이는 정부가 나서 벼 재배면적을 4만㏊ 이상이나 줄였기 때문이 아니냐는 것이다. 앞뒤 정황을 보면 벼농사 시책이 신중치 못하게 오락가락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농사가 단기간에 이뤄지는 일이 아닌 특성을 지닌 점에 비춰보면 합당한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정부가 국민 식량 확보 차원에서 쌀 생산량을 확보하려는 것을 모르는 게 아니다. 쌀 생산량과 벼 재배면적 감소의 주원인은 벼 농가의 소득 하락에 있다는 게 농민들의 입장이다. 벼 수매가, 쌀값을 농사의 현실에 맞게 보장하면 생산량은 자연스레 증가한다는 것이다. 논농사 작물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쌀 생산량을 높이는 것은 농민들을 또다시 희생시키는 근시안적인 탁상행정이다. 농사 현장의 실정을 감안한 확실한 자연재해 대비책, 농가의 소득이 보장되는 쌀 소비 방안을 토대로 벼농사 대책을 세우기 바란다.

서산타임즈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벼 수매시기에 농민들이 한 숨 짓다니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